마굿간 방문을 환영합니다.
마굿간배너
기사 스크랩
2013.07.30 09:12 조회수 132

[홍석우 딴생각] 이문세 애국가와 국가경쟁력

“첫 곡은 ‘애국가’였다. 이문세의 지휘에 맞춰 5만명이 합창했다. 이보다 유쾌하게 ‘애국가’를 부른 기억이 있었을까.”

얼마 전 서울 잠실 주경기장에서 있었던 ‘대한민국 이문세’ 공연에 대한 모 일간지의 기사 내용이다. 잠실 경기장 공연을 가는 것이 내 나이에 부담이 되지만, 50대 가수 이문세의 공연이라면 야광봉을 흔드는 내 모습도 그리 어색하지는 않겠기에 용기를 내어 그 자리에 갔다. 김범수·윤도현이 이문세와 함께 부른 ‘그녀의 웃음소리뿐’이 좋았고, 통기타를 들고 혼자 부른 ‘옛사랑’은 더 좋았다. 그러나 5만명이 합창한 ‘애국가’의 감동은 잊을 수가 없다. 신문 기사처럼 ‘애국가’도 이렇게 유쾌하게 부를 수 있다는 것을 알았고, 대한민국에 살고 있다는 게 더 좋아졌다.

우리도 ‘국민의례규정’이 있기는 하다. 그러나 많은 행사에서 ‘국기에 대한 경례’는 행사 초기 어수선한 가운데 그냥 순서로 지나간다. 애국가 제창도 반주가 성악가의 음높이에 맞춰져 있어 그런지 목청을 높여 불러야 하는데 점잖은 행사장에서 갑자기 그러기도 쉽지가 않다. 그래서 한 옥타브를 낮춰 부르다 보면 아주 저음으로 깔리는 부분이 나오게 된다. 애국가 제창을 마치면 힘이 솟기보다 허전해지는 것은 왜 그럴까. 그러다 이문세 애국가를 부르니 신이 났다. 음악회가 아니고 행사장이라 해도 참석자들이 애국가를 소리 높여 즐겁게 부르게 할 방법이 없지 않을 텐데 나부터도 그런 노력을 해 본 기억이 없다.

중소기업청장 시절이던 2009년 독립기념관의 삼일절 기념식 기억이다. 애국가를 4절까지 제창하는 동안 내 생각은 이렇게 변해 가지 않았을까 싶다. 1절을 부를 때에는 ‘그냥’ 애국가구나 그랬다. 2절을 부를 때에는 오랜만에 2절까지 부르는구나, 3절을 부를 때에는 내가 대한민국 사람이구나 느꼈고, 4절을 부를 때쯤에는 가슴이 뭉클해지면서 ‘조국을 위해 더 열심히 해야 하는데’라고 생각했다. 물론 행사를 마치고 서울에 도착할 때 그 감흥은 원래 수준으로 되돌아왔다. 그러나 ‘이런 경험을 반복하다 보면 느낌이 체화되지 않을까, 그렇게 되면 큰 비즈니스는 철학에서 나온다는 말처럼 내가 중소기업청장으로서 일을 더 열심히 하게 되지 않을까, 우리 직원들도 그러면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렇게 출발한 것에 직원들의 아이디어를 보태 ‘직원이 부른 애국가’ 동영상을 만들었다. 직원 3명이 각각 1, 2, 3절을 부르고 4절은 함께 부르는 방식이었다. 희망자를 모집했더니 의외로 많아서 실력 테스트를 별도로 해야 했다. 화면은 중소기업청의 이런저런 모습을 담았다. 처음에는 4절까지 부르는 것이 어색했지만 동료들의 목소리와 우리 모습이 화면에 나오면서 애국가가 많이 즐거워진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애국가 동영상을 자체 제작한 지방청도 몇 군데 생겨났다.

지금은 수요자 중심의 시대다. 모든 분야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국민의례에도 그런 노력이 필요하지 않을까. 지금은 감성 시대다. 개인이나 기업이나 인문학적 상상력을 중요시하고 있는 것은 그렇기 때문이다. 우리가 애국가를 즐겁게 부른다면 결국 국가경쟁력이 높아질 것이다. 규제개혁이나 공정경쟁 강화뿐만 아니라 애국가를 즐겁게 부르는 것도 국가경쟁력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행사 주체 측도 애국가를 즐겁게 부르도록 하는 게 득이 된다고 생각해야 한다. ‘시간관계상’ 애국가 제창은 생략하는 대신에 축사 한 명 줄이고 2분 30초에 불과한 애국가 4절까지 즐겁게 부르게 하는 게 현명하다.

회사의 사가도 즐겁게 불러야 하지만 직원들이 애국가를 즐겁게 부른다면 업무 효과가 더 좋아지리라는 생각을 최고경영자(CEO)도 해야 한다. 지난주 성남공단의 어느 중소기업을 방문해 애국가 얘기를 나누었더니 사장님이 직원들에게 지시를 한다. “우리도 애국가 동영상을 만들어 다음 기회에는 4절까지 부릅시다.” 난 그 기업이 더 클것으로 믿는다. 큰 비즈니스는 철학에서 나오니까.

Ⅰ기사일자 : 2013-07-29Ⅰ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 ?
    귀여운도깨비 2013.07.30 10:42
    내컴만 그런지 댓글쓰는 곳이랑 기사가 엊갈리게 보이네요.^^
  • ?
    펜던트 [펜던트] 2013.07.30 10:44
    유쾌한 애국가..문세오빠의 힘..!!!^^♡
  • profile
    샤방곰탱이 2013.07.30 12:19
    애국가를 제창하고 시작되었던 그 날의 감동..
    어디서도 생각지 못했던.. 오빠만이 보여주었던 그 날이었어요.
    감동,감동...... 문세짱
  • ?
    대발 2013.07.30 12:30
    그곳에 같이 있었던 사람으로써 애국가의 재발견이나 또는 새로운 감동,
    충분히 공감하지만,

    거기서 확대하는 것은 조금 무리가...
    1절을 부르면 다 부른것이요, 2절에서는 점점 지루해지다가, 3절에서는 하품이 나오고 4절에서는 졸고 있는게 현실.

    개인이 어떤 계기로 말미암아 조국에 대한 관심과 애국의 충정이 생기면,
    1절만 불러도 충분히 감동적입니다 17대 정권 장관님^^

    비지니스 철학과 연결, 애국가 4절 캠페인은 참아주세요~^^

    +
    공감하는 바가 있다면, 즐겁게 애국가 부르기네요~
    미국 프로 스포츠 시작 전 국가 제창이 더 깊게 와 닿는 이유가 있다면,
    연출입니다. 연출...
    4절까지가 아니라...

    '애국' 이라는 마음이
    절로 생기게 하는 다양한 연출...4절 캠페인은 노노해요~ㅎ)
  • ?
    정모아 2013.07.30 15:13
    ㅎㅎ 신기하네요.
    다른 분들이 단 댓글 먼저 보고 기사 보는 재미?
  • ?
    정모아 2013.07.30 23:42
    앗, 원래대로 복귀!
    신기했었는데 말이죠(*^-^*)

단일배너

행사앨범